분류 전체보기43 [JAV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객체란? 객체 : 주체가 아닌 것, 주체가 활용하는 것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것으로 프로그래밍의 대상 : 사물, 개념, 논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주변의 많은 것들을 객체화 해서 프로그래밍 하는 것 객체지향은 객체를 많이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장점 블록 형태의 모듈화된 프로그래밍 신뢰성 높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추가/수정/삭제가 용이하다. 재 사용성이 높다. 현실 세계 객체, 클래스, 프로그램의 객체(instance, object)의 관계 현실의 객체가 갖는 속성과 기능은 추상화(abstraction)되어 클래스에 정의된다. 클래스는 구체화 되어 프로그램의 객체(instance, object)가 된다. 현실의 객체는 우리가 만지고 느낄 수 있는 것 → 실생활에 구체화 되어있는.. 2024. 1. 19. [JAVA] 배열, 다차원 배열 2. 배열, 다차원 배열 배열이란?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 0개 이상을 하나의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서 관리하는 것 생성 new keyword와 함께 저장하려는 데이터 타입 및 길이 지정 : new data_type[length] new int[3] : int타입의 자료 3개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메모리에 생성 points = new int[3] : 생성된 배열을 points라는 변수에 할당 points는 메모리에 있는 배열을 가리키는 reference 타입 변수 배열 요소의 초기화 배열의 생성과 동시에 저장 대상 자료형에 대한 기본값으로 default 초기화 진행 boolean : false byte, short, int : 0 참조형 변수 : null 배열의 생성과 메모리 사용 과정 int[] poi.. 2024. 1. 18. [JAVA] 기본 문법 1. 자바 기본 문법 Variable(변수) :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으로 타입에 따라 크기가 달라짐 데이터 타입에 따른 데이터의 종류 기본형 :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 표현, 변수 자체에 값 저장 byte의 bit 수는 8인데, 왜 -2^7~2^7-1 의 값을 가지는가? → 맨 앞의 비트는 부호비트 이기 때문! int형의 크기는 -20억 ~ 20억 쯤 된다. 참조형 : 크기가 미리 정해질 수 없는 데이터의 표현, 변수에는 실제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주소만 저장 배열 타입 열거 타입 클래스 인터페이스 String : 유일하게 new를 사용하지 않고 생성가능한 객체 String은 참조형이지만 기본형처럼 사용하게 지원해준다. 실수의 연산은 정확하지 않다. 유효 자릿수를 이용한 반올림 처리 실수.. 2024. 1. 17. [BOJ] 2133번 : 타일 채우기 [G4] https://www.acmicpc.net/problem/2133 2133번: 타일 채우기 3×N 크기의 벽을 2×1, 1×2 크기의 타일로 채우는 경우의 수를 구해보자. www.acmicpc.net 문제 3×N 크기의 벽을 2×1, 1×2 크기의 타일로 채우는 경우의 수를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1 ≤ N ≤ 3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2 예제 출력 1 복사 3 힌트 아래 그림은 3×12 벽을 타일로 채운 예시이다. 내 풀이 전에 이와 비슷한 문제를 풀어본 기억이 있어서 별로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접근하였다. 처음에 답을 냈을 때, '엥 이게 왜 골드4지?' 라는 생각이 들었었고 답을 제출했지만 당연히 틀려버렸다. 그 후 생각을 거듭한.. 2023. 8. 21.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