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3

[파이썬] List, Tuple, Set, Dictionary List(리스트) : 대괄호 [ ] 사용해서 만듦 list = [] list = [10, 20, 30, 40] Tuple(튜플) : 소괄호 ( ) 사용해서 만듦 tuple = () tuple = (10, 20, 30, 40) Set(세트) : 중괄호 { } 사용해서 만듦(단, 단순 선언할 때는 딕셔너리와 구분하기 위해 set()로 선언) set = set() set = {10, 20, 30, 40} Dictionary(딕셔너리) : 중괄호 { } 사용해서 만들며, 콜론(:) 과 콤마(,)를 사용하여 만듦 dictonary = {} dictonary = {10:"십", 20:"이십", 30:"삼십", 40:"사십"} List와 Tuple의 차이점 : 리스트는 한번 생성한 후 변경, 삭제 가능 but 튜플은.. 2023. 7. 5.
여러가지 위젯(Widget) Container Widget : 한 페이지 내에서 최대한의 공간을 차지하려 한다. - child가 없을 경우, 컨테이너 위젯은 할수 있는 한 최대한의 공간을 차지. - child가 있을 경우, child의 크기로 줄어든다. - 오직 하나만의 child만 가질 수 있다. SafeArea Widget : 위젯이 화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해줌. 검은색 화살표 : margin 파란색 화살표 : padding Column Widget : 여러개의 위젯들을 세로로 나열하기 위한 위젯 - children : [] - 대괄호( [ ] ) 안에, 여러개의 위젯을 나열 - 가로 크기는 children의 크기로 제한 - 가로로 가운데 정렬 : Center위젯으로 감싸기 - 세로로 가운데 정렬 : mainAxisAlign.. 2023. 6. 12.
BuildContext 이해하기 BuildContext 정의 1. widget tree에서 현재 widget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정보 정의 2. 모든 위젯은 자신만의 BuildContext를 가지고 있고, 이 BuildContext는 stateless위젯이나 state위젯의 빌드 메서드에 의해서 리턴 된 위젯의 부모가 된다. 모든 위젯은 함수를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해 계층 구조를 만들어 나간다. 1. build란 함수명 앞에 Widget은 타입이다. 즉, build 메소드는 Widget 타입 2. 인자값은 BuildContext라는 타입의 context라는 인자값이다. 3. build함수는 context라는 인자값을 대입한 MaterialApp(Scaffold)이라는 위젯을 return 한다. 문제발생 Scaffold위젯이 존재하고.. 2023. 6. 2.
Appbar(앱 바) & Drawer(드로어) App bar icon button leading : 아이콘 버튼이나 간단한 위젯을 왼쪽에 배치할 때 actions : 복수의 아이콘 버튼 등을 오른쪽에 배치할 때 onPressed : 함수의 형태로 일반 버튼이나 아이콘 버튼을 터치했을 때 일어나는 이벤트를 정의 Drawer ListView UserAccountDrawerHeader currentAccountPicture accountName accountEmail onDetailsPressed decoration otherAccountPictures ListTile Icon Text onTap leading : 앞에 배치 trailing : 뒤에 배치 기능상에서는 매우 유사함 단지 쓰이는 곳이 조금 다르다. onPressed : 주로 Button에 사.. 2023.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