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7 [Oracle] DB 이중화 방식 이중화 방식 비교분류개념동시 서비스대표 기술/제품주 용도Single단일 인스턴스·단일 노드1대모든 DB 공통소규모/비핵심, DR은 별도OS/Cluster HA (Active–Standby)같은 DB를 한 번에 1 인스턴스만 가동, 장애 시 다른 노드로 재기동1대Oracle Single Instance + Pacemaker/Veritas/WSFC, MSSQL FCI고가용성(무중단에 근접), 단순 구조RAC (Active–Active)여러 인스턴스가 동시에 같은 DB 파일을 공유다대Oracle RAC성능 수평확장 + 고가용성Standby/Replication (DR/세컨더리)주-대기 복제(동기/비동기), 대기는 보통 읽기 전용1대(쓰기) + n대(읽기)Oracle Data Guard, MSSQL AG, Po.. 2025. 10. 17. [Oracle] Online Redo Log vs. Archived Redo Log Online Redo LogLGWR가 지금 이 순간 순차적으로 쓰는 순환 로그꽉 차거나 스위치되면 다음 그룹으로 넘어가며 재사용(덮어쓰기) 됨 Archived Redo LogARCn이 스위치된 Online 로그의 사본을 별도 파일로 남긴 것미디어 복구·시점복구·Data Guard에 쓰이며, 보존/삭제 정책(FRA ·RMAN)에 따라 관리 됨 항목Online Redo LogArchived Redo Log작성 주체LGWR(실시간)ARCn(로그 스위치 후 사본 생성)용도커밋 보장, 크래시(인스턴스) 복구미디어 복구, PITR, Data Guard수명순환 사용(덮어씀)보존 파일(FRA/RMAN 정책에 따라 삭제)전제항상 존재ARCHIVELOG 모드일 때만 생성위치/확인V$LOG, V$LOGFILEV$ARCHIV.. 2025. 10. 17. [Oracle] DB 전체 동작 흐름 Client가 SQL 요청 → Server Process가 처리Server Process는 SGA에서 데이터 검색, 없으면 Data File에서 읽어옴데이터 변경 시:Redo Log Buffer에 변경사항(Redo) 기록변경된 데이터(Buffer)는 Database Buffer Cache에 존재주기적으로LGWR가 Redo Log Buffer를 Online Redo Log로 기록DBWn이 Database Buffer Cache 내용을 Data File로 기록백업 및 복구를 위해 ARCn, RVWR 프로세스도 동작 사용자 UPDATE 요청↓1. Redo Log Buffer ← 변경 내역 기록2. Buffer Cache ← 실제 데이터 수정↓LGWR → Online Redo Log (즉시 or 커밋 시)DBW.. 2025. 10. 17. [Oracle] 오라클 Pysical Storage Structures Oracle Physical Storage Structures를 크게 분류하면 1. Instance = 메모리(SGA + PGA) + 프로세스(서버 + 백그라운드)2. Database = Data Files + Control Files + Redo(Online/Archived) + Flashback Logs Client → Server Process ├─(Read)→ Buffer Cache(실제 데이터 - 캐시) ──[miss]→ Data Files(실제 데이터 - 파일) ├─(Write)→ Redo Log Buffer(변경 내역 기록) → LGWR → Online Redo Log(실시간 로그) │ └→ ARCn → Arch.. 2025. 10. 16. 이전 1 2 3 4 ··· 12 다음